□ 용서와 인내
350. 벵갈어*의 알파벳 가운데 세 글자가 같은 음을 내는 것은
Śa, Sha, Sa, 이 셋뿐이다. 모두 <용서>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이 벵갈어의 Sa는 용서라는 뜻이며 산스크리트어의 어근 Sha에서 파생되었다.)
- 이는 무엇을 뜻하는가.
우리 벵갈지방 사람들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 알파벳을 통해서 <용서와 인내>를 배운다.
용서와 인내는 모든 사람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다.
351. 저 대장간의 철침(鐵砧)**을 보라.
아무리 망치로 두드려 맞아도 전혀 움직이지 않는다.
우리는 이 철침을 통해서 인내와 지구력을 배워야 한다.
---------------------------------------------------------------
* 인도 벵갈지방의 언어.
라마크리슈나가 이 언어를 사용했고, 타골이 이 언어로 불멸의 詩 <기탄쟐리>를 썼다.
** 쇠를 달구어 칠 때 사용하는 대장간의 쇠판.
'라마크리슈나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겸손과 자중 (自重) 354-363 (0) | 2017.02.01 |
---|---|
□ 신 중 352, 353 (0) | 2017.02.01 |
□ 몸을 대하는 태도 347-349 (0) | 2017.01.30 |
□ 몸을 대하는 태도 346 (0) | 2017.01.28 |
□ 몸을 대하는 태도 3441-343 (0) | 2017.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