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의 선택(Ishta)에 대한 필요성
468. 새로 시집온 새댁은 시아버지와 시어머니를 존경한다.
그들의 원하는 바를 들어주고 그들의 말에 복종한다.
그러나 동시에 그녀는 그들보다는 훨씬 더 남편을 사랑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너 자신이 선택한 신(Ishta)에게 절대적으로 헌신하라.
그 믿음을 확고히 하라.
그러나 그러면서도 다른 사람이 섬기는 신을 깔보거나 업신여기지 말라.
그 신들에게도 역시 존경을 표시하라.
그 신들 역시 하나인 브라흐만신을,
오직 하나뿐인 저 유일자(唯一者)를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469. 아쉬따-카쉬따(Ashta-kashta)라 부르는 주사위놀이에서
말이 중앙 지점에 도달하려면
말판의 사방각(四方角)을 모두 지나가야 한다.
그러나 말이 중앙에 도달하지 못하면 자꾸자꾸 출발지점으로 되돌아오기 쉽다.
그리고 계속해서 피곤한 여행을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러나 두 개의 말이 동시에 출발하게 되면,
각(角)에서 각으로 함께 옮겨가면,
어떤 승자(勝者)도 그 말들을 후퇴시킬 수 없다.
이와 마찬가지로 기도와 명상수련을 시작하는 사람은
처음에는 그 자신을 스승에게 연결시켜야 한다.
그러면 전진에 대한 어려움이나 실패의 두려움이 없다.
그의 길은 무난할 것이며 방해받지도 않고 어떤 후퇴도 없을 것이다.
470. 여러 길을 통해서 우리는 캘커타에 갈 수 있다.
의심 많은 한 사내가 도심지에서 멀리 떨어진 시골에서 캘커타로 가기 위하여 출발했다.
길가는 도중 그는 물었다. 「캘커타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 어느 길입니까?」
옆 사람은 말했다.
「아닙니다. 길을 잘못 드셨군요.
다시 되돌아가서 왼쪽길로 접어드십시요.」
그는 오던 길을 되돌아서 왼쪽 길로 접어들었다.
그렇게 한참을 가다가 세 번째 사람을 만났다.
그러나 세 번째 사람은 또 다른 길을 가르쳐 주었다.
----이렇게 해서 의심많은 사내는 온종일 길을 바꾸다가 해가 져 버렸다.
정말 캘커타에 가고 싶다면 정직한 사람이 가르쳐 준 길을 곧장 가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신에게 이르려는 진실한 안내자를 따라
한눈팔지 말고 착실하고 꾸준히 가야 한다.
471. 한 사내가 우물을 팠다.
12미터쯤 파내려가 봤지만 물이 나오지 않아서 다른 곳을 다시 파내려갔다.
그러나 꽤 깊이 파내려갔음에도 불구하고 거기에서도 역시 물이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그는 그것을 버리고 또 다른 곳을 파내려갔다.
30미터 이상을 팠지만 거기에도 역시 물이 나오지 않았다.
그는 마침내 싫증이 나서 우물 파는 작업을 그만두었다.
그가 판 세 개의 우물 깊이는 모두 합치면 80여 미터가 된다.
그가 만일 세 우물을 파는 노력의 절반만이라도 한 우물파기에 쏟았더라면
그는 분명히 물을 발견했을 것이다.
그의 길을 자꾸 바꾸는 사람도 이와 같다.
구도의 길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의심을 갖지 말고
자신이 택한 신앙에 전심전력으로 매달려야 한다.
'라마크리슈나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브라흐마 챠리야(Brahma-charya, 禁欲 또는 절제) 477-482 (0) | 2017.04.24 |
---|---|
□ 진 리 472-476 (0) | 2017.04.24 |
★★★ 내맡김 □ 신에게의 조건 없는 복종 464-467 (0) | 2017.04.05 |
★★★ 내맡김 □ 신에게의 조건 없는 복종 461-463 (0) | 2017.04.01 |
맡김★★★ 내맡김 □ 신에게의 조건 없는 복종 458,459,460 (0) | 2017.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