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 내
508. 농부들이 소를 살때 어떻게 고르는지 아는가.
농부들은 이런 문제에 아주 익숙해 있으며,
나쁜 소와 질 좋은 소를 어떻게 구별하는가를 잘 알고 있다.
그들은 짐승들의 기질을 알아내는 방법을 알고 있다.
그들은 사려고 하는 짐승의 꼬리를 살짝쳐 본다.
그러면 그 즉시 효과가 나타난다.
기질이 없는 놈은 아무런 저항도 하지 않고 잠자는 것처럼 그냥 누워 있다.
그러나 기질이 있는 놈들은 그렇지 않다.
자기의 자유를 빼앗아가는데 대해서 반항이라도 하듯 벌떡 일어난다.
농부들은 바로 이런 기질이 센 놈들을 산다.
인간의 경우도 이와 마찬가지다.
삶을 성공적으로 살기 위해서는 내면적으로 진정한 인간의 기질을 가져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용기가 없다.
우유에 젖은 팝콘처럼 맥이 없이 굽실거리기만 한다.
그는 내면적으로 전혀 강하지 않는다.
그들에게는 참고 견디고 노력하는 끈기가 없다.
그들에게는 의지의 힘이 약하다. ---- 이런 사람들은 삶의 완전한 패배자들이다.
509. 큰 고기를 잡으려는 낚시꾼은
물속에 미끼 물린 낚시를 던져 놓고 오랫동안 조용히 기다린다.
이와 마찬가지로
기도와 명상수련을 꾸준히 수련하는 수행자는 마침내 신을 체험하게 될 것이다.
'라마크리슈나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인 내 514-516 (0) | 2017.06.04 |
---|---|
□ 인 내 510-513 (0) | 2017.06.03 |
바이라그야(Vairagya, 포기) 506, 507 (0) | 2017.06.02 |
바이라그야(Vairagya, 포기) 504, 505 (0) | 2017.05.17 |
바이라그야(Vairagya, 포기) 501 -503 (0) | 2017.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