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162
676. 여기 두 가지 논리 전개가 있다.
아눌로마(Anuloma)의 논리 전개와 빌로마(Viloma) 논리 전개가 그것이다.
아눌로마 논리 전개는 신의 창조에 대한 사색, 즉 제 일 원인에 대한 결과로부터 시작된다.
그 다음 빌로마 논리 전개가 시작된다.
신을 깨닫게 되면 인간은 창조행위와 이 모든 곳에서 신의 현현(顯現)을 감지(感知)하게 된다.
그러므로 아눌로마 논리 전개는 분석적이요, 빌로마 논리 전개는 종합적이다.
아눌로마 논리 전개는 알맹이가 나올 때까지 바나나 껍질을 모두 벗겨내는 거와 같다.
그러나 빌로마 논리 전개는 벗겨낸 그 껍질을 다시 하나하나 되입히는 거와 같다.
677. 지혜는 통합을 가져오고 무지(無知)는 상호충돌을 부른다.
'라마크리슈나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즈냐나 요가의 수행에 있어서 어려운 점 679 (0) | 2018.02.10 |
---|---|
□ 즈냐나 요가의 방법 678 (0) | 2018.02.06 |
□ 즈냐나 요가의 방법 672-675 (0) | 2018.01.21 |
□ 즈냐나 요가 670, 671 (0) | 2018.01.21 |
16. 지혜의 길, 헌신의 길, 그리고 의무와 행동의 길 ⌺ 지혜의 길 □ 즈냐나 요가 668,669 (0) | 2018.01.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