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앙인의 세속적 위치
599. 데바끼(Devaki)*는 감옥 속에서 크리쉬나의 신성한 모습을 봄으로써 은총을 입었다.
그렇지만 아직 감금의 상태에서 벗어날 수는 없었다.
600. 눈 먼 사람이 갠지스의 성수(聖水)에 목욕했다.
이로 하여 그의 모든 죄는 속죄받았지만
그러나 그의 육체적인 시각장애(Blindness)는 아직도 제거되지 않았다.
601. 신심(信心)이 독실한 한 나뭇꾼이 영원한 어머니(神)의 비전을 체험함으로써
지복(至福)의 상태에 이르었다.
어머니의 은총을 받은 자가 되었다.
그러나 나뭇꾼으로서의 그의 직업은 변하지 않았다.
이 가난한 사내는 여전히 생계를 유지하기 위해서 힘들게 나무를 해야 했다..
602. 등에 화살을 맞아 죽어가는 비쉬마(Bhishma)*의 눈에서는 눈물이 흘렀다.
크리쉬나와 판다바(Pandavas)*들도 그 옆에 서 있었다.
이를 본 아르쥬나는 외쳤다.
「이 무슨 이변인가, 우리 할아버지 비쉬마는 그토록 믿음에 차 있는 현자(賢者)였다.
그런 그조차 죽음의 순간에 마야에게 압도 당하여 이렇게 울고 있다니......」
이 말을 들은 비쉬마는 이렇게 답했다.
「크리슈나여, 그대는 잘 알겠지만 나는 결코 그 때문에 우는 것이 아니다.
신 자신이 전차(戰車)몰이로 참가한 판다바들의 군단(軍團)조차도
이렇게 많은 시련과 고난을 겪어야 하다니......
신의 뜻을 조금도 이해할 수 없다는 생각이 지금 나를 압도하고 있다.
그것 때문에 나는 눈물을 거둘 수 없는 것이다.」
-----------------------------------------
* 쿠루크쉐트라(Kurukshetra) 전쟁에서의 위대한 영웅. 인도의 대서사시 마하바라따에 묘사되어 있다.
** Panda의 다섯 아들,
즉 Yudhisthiraz, Arjuna, Bhima, Nakula, Sahadeva. 이들은 모두 마하바라따에 나오는 영웅이다.
'라마크리슈나의 가르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은 부(富)에 관심이 없다. 605-607 (0) | 2017.09.23 |
---|---|
□ 神은 어떻게 그 자신을 드러내는가 603, 604 (0) | 2017.09.23 |
□ 신과 신앙인 594 (0) | 2017.09.05 |
□ 신과 신앙인 591-593 (0) | 2017.08.09 |
□ 신과 신앙인 587-590 (0) | 2017.08.08 |